DTO (Data Transfer Object) VO (Value Object) Entity 과거에는 DTO와 VO를 혼용하여 사용되는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3가지는 모두 의미가 다르며 활용법도 다르다. 각각의 의미와 특징을 살펴보자. DTO ( Data Transfer Object ) 의미 Data Transfer Object 를 직역하면 데이터 전달 객체 이다. 말 그대로 프로세스간에 데이터를 전달 하는 객체이다. 프로세스란 사용자(Client) 또는 화면단 과 어플리케이션 사이에서 이루어 지는 동작들 이다. Client 또는 presentation Layer →(DTO)→ Controller →(DTO)→ Service →(DTO)→ Dao Dao →(Entity)→ Service →(DTO)→ ..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bKXG8H/btquSzTkOHd/iaAwvKz1DygCLO4NAatieK/img.png)
기술적인 부분보다 스프링 시큐리티가 무엇인지에 대해 먼저 알아보자. 스프링 시큐리티가 무엇일까? 스프링 홈페이지에서 찾아보자 (참고서) 스프링 시큐리티는 강력하고 커스터마이징이 가능한 인증 및 접근제어 프레임 워크이다. 스프링 기반의 애플리케이션을 안전하게 하는데에 사실상 표준이라고 할수있습니다. 스프링 시큐리티는 자바 애플리케이션에 인증과 권한 부여를 제공하는 데 중점을 둔 프레임 워크입니다. 모든 스프링 프로젝트와 마찬가지로 스프링 시큐리티의 진정한 힘은 custom requirements(맞춤형 요구사항)을 충족시키기 위해 얼마나 쉽게 확장될수 있는지에서 알수 있습니다. 간단하게 말해서, 스프링 시큐리티는 스프링 기반의 어플리케이션에서 보안을 위해 인증과 권한 부여를 사용하여 접근을 제어하는 프레임..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08bbZ/btqud6jkmm8/RZnRo9jmJk1EazHlzFkC21/img.png)
스프링 mvc 이전에 mvc 패턴은 자바 뿐만아니라 모든 프로그래밍에서 사용하는 디자인패턴을 말한다 mvc 패턴을 사용함으로서 작업할수 있는 부분이 확실하게 구분되어 유지보수와 헙업(역할 분담)에 용이하다 이전 mvc model 1 같은경우는 jsp 안에 자바코드와 html 이 같이 섞여 있엇다 이떄문에 유지보수가 어려워서 model2 패턴이 나오게 되었다. mvc 패턴은 스프링뿐만아니라 프레임워크 없이 사용될수있고 다른 언어에서도 mvc 패턴으로 프로젝트를 만들수있다. AOP (관점 지향 프로그래밍) PSA (이동 가능한 서비스를 위한 추상화) IOC 제어의 역행 : 객체생성 및 관계설정을 개발자가 하지않고 스프링이 처리 DI 의존성 주입 : IOC의 구현모습중에 하나인 DI 클래스내에 필요한 의존객체..
스프링 프레임워크란? 쉽게 말하자면 스프링은 개발자가 좀 더 편하고 손쉽게 개발할 수 있도록 해주는 개발도구이다.예를들자면 아래 공구중 무엇이 더 손쉽고 편리하게 스프링 프레임워크는 AOP, PSA, IoC, DI 기술을 바탕으로 POJO를 지향하는 경량의 오픈소스 프레임워크다. POJO란 Plain Old Java Object로EJB의 단점을 비교하여 칭하게 된 단어가 POJO 이다 POJO를 알려면 EJB를 자세히알아야한다고하는데 대략 설명을 하자면EJB에서 빈을 만들기 위해서는 다양한 부모 클래스를 알아야 하고 그에 맞는 인터페이스를 구현해야 했다고 한다.하지만 자바의 특징중에 하나인 객체지향이라는 말처럼 단순한 자바객체를 이용해 만드는 것을 목표로 POJO 라는 말이 탄생하게되었다. 순수하게 se..
LOMBOK LOMBOK 이란?- 자바개발시 도메인 오브젝트등 모델 객체를 생성할 때 세터/게퍼/toString/hashCode 메소드등을 만드는데이러한 경우 클래스 파일의 소스가 길어지고 복잡해 보인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롬복을 사용하는데클래스 안에 있는 필드에 대해 Getter, Setter의 생성, toString(), equals(), hashCode() 메서드를 자동생성 해준다. @Getter : Getter 메소드를 생성해 준다. @Setter : Setter 메소드를 생성해 준다. @ToString : toString 메소드를 클래스 필드를 확인해서 적절히 만들어 준다. @EqualsAndHashCode : equlas와 hashcode 메소드를 만들어 준다. @Data : 클래스안의 모든..
JPA 어노테이션 정리 @Entity 이 어노테이션은 해당 클래스가 엔티티임을 알리기 위해 사용합니다. 애플리케이션이 실행이 될 때 엔티티 자동검색을 통하여 이 어노테이션이 선언 된 클래스들은 엔티티 빈으로 등록합니다. 엔티티 빈이란?데이터를 객체화하여 재사용이 가능한 컴포넌트를 말한다. 데이터를 객체화한다는 것은 개발자들이 데이터에 접근하고 변경하는 방법이 보다 단순하고 쉬워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객체화 된 데이터를 비즈니스 객체 또는 현실 세계의 객체 라고 하며 이 객체는 영속성을 가진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 저장이 되며 데이터베이스에서 테이블의 한 레코드와 대응된다. 여기서 중요한것은 빈 인스턴스와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가 동기화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즉 빈 인스턴스에서 새로운 변화가 일어날 때마다 데..
어노테이션이란?주석이라는 사전적 의미를 가지고있으며 , 자바 코드에 주석처럼 사용하여 컴파일 또는 런타임에서 해석된다. 스프링 부트 어노테이션 자바코드로 XML 설정 시 사용되는 어노테이션들 @SpringBootApplication 많은 Spring Boot 개발자들은 항상 그들의 메인 클래스에 @Configuration, @EnableAutoConfiguration 그리고 @ComponetScan을 어노테이트한다. 이 어노테이션들은 자주 함께 사용된다. Spring Boot는 편의를 위해 @SpringBootApplication을 제공한다. @SpringBootApplication 어노테이션은 @Configuration, @EnableAutoConfiguration 그리고 @ComponentScan을 ..
- Total
- Today
- Yesterday
- Apache
- Apache와 Tomcat
- mybatis
- Spring
- 스프링 시큐리티
- mapper
- DTO
- 인터넷이란
- java
- spring security
- 스프링
- 톰캣
- 오류
- Entitiy
- tomcat 오류
- 아파치
- tomcat
- WWW
- internet
- 웹
- Web
- 인터넷
- org.apache.tomcat.util.bcel.classfile.ClassFormatException
- 마틴 파울러
- 서버
- world wide web
- Vo
- 자바 오류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